원의 지름과 원주의 관계를 이해하고,
원주율의 개념을 학습하기
1. 원주와 지름의 관계
원주는 원의 둘레를 의미하며,
지름은 원의 중심을 통과하며 원 둘레의 두 점을 연결한 직선의 길이입니다.
일반적으로, 원의 지름에 약 3을 곱하면 원주의 길이가 됩니다.
즉, 원주는 지름의 약 3배입니다.
2. 원주율(π)의 개념
"원주율(π)"은 원주를 지름으로 나눈 값으로, 약 3.14입니다.
이는 원의 크기와 상관없이 일정한 값입니다.
"원주율(π)"은 무한소수로 이어지지만,
계산 시 편의를 위해 3.14 또는 3으로 사용합니다.
3. 원주 구하는 공식
원주 = 지름 × 원주율(π)
또는, 원주 = 2 × 반지름 × 원주율(π)
4. 실생활에서의 이해
원 모양의 물체(예: 시계, 접시 등)의 지름과 둘레를 측정하여,
원주가 지름의 약 3배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★ 참고
정육각형의 둘레와 원주의 원주를 비교하기
는 정육각형의 특성과 원의 특성을 활용해 둘레와 원주를 계산하고 비교하는 과정입니다. 아래를 참고하세요.
1. 기본 공식
정육각형의 둘레
모든 변의 길이가 같으므로,
둘레 = 한 변의 길이 × 6
원의 원주
원주 = 지름 × 원주율(π ≈ 3.14)
2. 비교 예
조건
정육각형의 한 변의 길이와 원의 반지름이 같다고 가정해봅니다.
예 : 정육각형 한 변의 길이 = 10cm
따라서, 원의 반지름 = 10cm.
1. 정육각형의 둘레
10 × 6 = 60 ( cm)
2. 원의 원주
원의 지름 = 반지름 × 2 = 10 × 2 = 20( cm)
원주 = 지름 × 원주율
= 20 × 3.14 = 62.8( cm)
3. 결과 비교
정육각형의 둘레 = 60cm
원의 원주 ≈ 62.8cm
결론
원의 원주가 정육각형의 둘레보다 약간 더 깁니다.
정사각형의 둘레와 원주의 원주를 비교하기
( 같은 조건에서 두 도형의 테두리 길이를 비교하는 과정입니다.)
1. 기본 공식
정사각형의 둘레
둘레 = 한 변의 길이 × 4
원의 원주
원주 = 지름 × 원주율(π ≈ 3.14)
2. 비교 예
같은 변의 길이(정사각형의 변)와 지름(원의 지름)을 기준으로 계산해봅니다.
정사각형 한 변의 길이 = 10cm
원의 지름 = 10cm
1. 정사각형의 둘레
10 × 4 = 40 ( cm)
2. 원의 원주
10 × 3.14 = 31.4 ( cm)
결과
정사각형 둘레가 원의 원주보다 길다.
정사각형 둘레 = 40cm
원의 원주 = 약 31.4cm
4. 실생활 예
같은 길이의 끈으로 도형을 만든다면,
정사각형은 원보다 더 넓은 면적을 가집니다.
'edu_공부하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예비중학 반편성 배치고사 대비 수학 요약1 (0) | 2025.02.01 |
---|---|
합성수란?/ 중1수학 (0) | 2025.01.22 |
배설기관 초등 과학 (0) | 2024.12.03 |
초등 6학년 2학기 영어단어 8-12단원 천재교과서(최) (0) | 2024.12.02 |
people /앤드류 카네기 (0) | 2024.11.26 |